
현 정부의 공약 중 하나가 한국식 세는 나이를 만 나이로 통합하겠다는 것이었습니다. 나이의 앞자리가 바뀌는 사람들은 물론이고 뒷자리만 바뀌는 저도 두 손을 들고 환영할만한 정책입니다. 물론 이미 서류상으로는 대부분의 기관에서 만 나이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바뀌는 것은 없겠지만요. 그래도 오늘은 만나이 계산 방법, 시행일, 만 나이 계산기 사용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만 나이
만 나이는 생일을 기준으로 1살이 증가하는 나이 계산 방법입니다. 태어난지 아직 1년이 되지 않은 아이들은 0살부터 시작하고, 첫 생일인 돌이 지나야 1살이 됩니다. 만 나이 이외에도 우리나라에서는 세는 나이, 연 나이가 있습니다. 세는 나이는 다들 아시는 것처럼 태어나자마자 1살이며, 1월 1일에 1살을 추가하는 계산 방법이고, 연 나이는 현재 연도에서 태어난 연도를 뺴는 방법입니다. 즉, 한국식 세는나이에서 1살을 빼는 방법이 연 나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시행일
만 나이는 2023년 6월부터 시행됩니다. 하지만 바뀌는 것은 거의 없습니다. 왜냐하면 정부, 회사 등 거의 대부분의 기관에서 서류에 작성하는 나이는 이미 만 나이이기 떄문입니다. 따라서 만 나이가 시행되는 날짜는 공식적으로는 2023년 6월인지만, 사실은 그 이전부터 사용중이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따라서 만 나이가 시행된다고 하더라도 변하는 것은 거의 없습니다.
계산 방법 및 만나이 계산기
만 나이를 계산하는 방법은 생일이 지났는지 지나지 않았는지에 따라서 다릅니다. 생일이 지나지 않았으면 연나이에서 1을 뺴줍니다. 반대로 생일이 지나지 않았다면 연 나이가 그대로 만 나이가 됩니다. 예를 들어서 2000년 8월 30일에 태어난 A씨의 만 나이를 계산해보도록 하겠습니다. 현재 날짜는 아직 2023년 1월이기 때문에 A씨의 만 나이는 22살이 됩니다. 하지만 2023년 9월 1일에는 생일이 지났기 때문에 A씨의 만 나이는 23살이 됩니다.
- 생일이 지난 경우: 연 나이(현재 연도 - 태어난 연도)
- 생일이 지나지 않은 경우: 연나이(현재 연도 - 태어난 연도) -1

하지만 이런 계산 방법을 모르더라도 위의 사진처럼 네이버에서 만 나이 계산기를 검색하셔서 출생일과 기준일을 입력하시면 만 나이를 계산해주기도 합니다. 옆의 바로가기를 누르시면 만 나이 계산기를 바로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만 나이 계산기 바로가기)
마치며
오늘은 만 나이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사실 크게 변하는 것은 없을겁니다. 하지만 1살 혹은 2살이 어려지는 것에 만족하며 오늘은 여기까지 하도록 하겠습니다.
'기타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갤럭시 S23 시리즈 스펙, 가격, 사전예약 혜택 (0) | 2023.02.02 |
---|---|
실내 마스크 의무화 해제 총정리 (0) | 2023.01.28 |
2023년 애플 신학기 프로모션 예상 (0) | 2023.01.06 |
소득금액증명원 인터넷으로 발급 받는 방법 (0) | 2022.12.28 |
미국 서머타임 영구 적용 (0) | 2022.12.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