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에도 청년 우대형 주택 청약 통장이 있었는데, 이번에 정부에서 훨씬 더 좋은 주택 청약인 청년 주택 드립 청약 통장을 발표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청년 주택 드림 청약 통장의 가입 조건, 가입 방법, 혜택까지 총정리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그럼 바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혜택
먼저 주택 청약에는 청년들을 우대해 주는 청년 우대형 주택 청약 통장이 있었습니다. 해당 통장은 일반 주택 청약 통장보다 금리만 아주 살짝 높을 뿐 거의 동일한 혜택을 제공하는 수준에 그쳤습니다. 그런데 이번에 청년 우대형 주택 청약통장이 청년 주택 드림 청약 통장으로 변경이 되는데요. 그래서 기존 청년 우대형 주택 청약 통장과 혜택을 비교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혜택 | 청년 우대형 주택 청약 통장(기존) | 청년 주택 드림 청약 통장(신규) |
한도 | 월 50만 원 | 월 100만 원 |
금리 | 4.2% | 4.5% |
중도 인출 | 불가능 | 1회 가능 |
위의 표를 아시겠지만 중도인출이 1회 가능해졌고, 금리는 4.2%에서 4.5%까지 증가했으며, 한도 역시 기존 월 50만 원에서 월 100만 원까지 증가하였습니다.
여기서 한도가 100만 원까지 증가한 부분은 사실 큰 영향이 없을거라고 생각합니다. 왜냐하면 주택청약 통장은 보통 월 10만 원까지만 납입하기 때문이죠. 하지만 100만 원 납입 자체가 안 되는 것보다는 되는 것이 훨씬 좋기 때문에 무조건적으로 더 좋아졌다고 할 수 있습니다.
게다가 이 통장 혜택 중에서 핵심은 대출 금리 우대 혜택이라고 생각합니다. 청년 주택 드림 청약통장은 1년 이상 1,000만 원 이상 납입한 상태에서 청약에 당첨된 경우 해당 주택 분양가의 최대 80%를 대출할 수 있는 혜택이 주어집니다. 그런데 금리가 무려 2.2% ~ 3.6% 수준으로 최근 금리에 비해서 엄청난 저금리이죠. 하지만 누구나 대출이 가능한 것은 아니고, 대출 대상이 되기 위해서는 아래 조건을 만족해야 합니다.
- 나이: 만 20세 ~ 만 39세인 청약 당첨자 중 무주택자
- 소득: 미혼인 경우 연 소득 7,000만 원 이하, 기혼인 경우 1억 원 이하
- 주택: 6억 원 이하, 전용 면적 85㎡ 이하인 주택
- LTV: 최대 80%
- DTI, DSR: 기존과 동일
- 금리: 2.2% ~ 3.6% 40년 고정 금리
- 우대 금리: 결혼 시 0.1 %, 출산 시 0.5%, 추가 출산 시 명당 0.2%
가입 조건
이런 혜택들을 가지고 있는 청년 주택 드림 청약 통장을 개설하기 위해서는 특정 조건을 만족해야 합니다. 기존에 비해서 훨씬 좋은 혜택을 제공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입 조건이 훨씬 완화되었습니다.
청년 우대형 주택 청약 통장(기존) | 청년 주택 드림 청약 통장(신규) | |
소득 | 연 3,600만 원 이하 | 연 5,000만 원 이하 |
무주택 | 무주택 세대주 | 무주택자 |
나이 | 만 19세 ~ 만 34세(군 복무기간 최대 6년까지 인정) |
당연히 청년을 위한 통장이기 때문에 나이 제한이 있지만, 소득 조건이 대폭 완화되어 대기업이 아닌 기업에 다니시는 분들은 대부분 가입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게다가 무주택 세대주라는 요건도 사라졌기 때문에 세대원으로 있는 청년 분들도 가입 가능하도록 변경되었습니다.
가입 방법
신규로 가입하시기 위해서는 당연히 신분증, 원천징수 영수증 등을 지참한 후에 은행에 방문하셔서 가입하시면 될텐데요. 그것보다는 기존에 가입한 주택 청약을 청년 주택 드림 청약 통장으로 전환하는데 관심이 더 많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전환 방법을 위주로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일단 기존에 청년 우대형 주택 청약 통장을 가지고 계신 분들은 전환 시 기존의 가입기간, 납입 금액, 납입 회차를 모두 인정받으신 상태에서 청년 주택 드림 청약 통장으로 전환하실 수 있습니다. 하지만 기존 청년 우대형 주택 청약 통장처럼 기존 통장은 해지한 후 새롭게 가입하시면, 실적이 인정되는 구조라고 합니다.
또, 청년 우대형 주택 청약 통장이 아니라 일반 주택 청약 통장에 가입되신 분들 역시 새로운 통장의 가입 조건에 해당되면 전환 가입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납입 기간과 금액 등 실적이 인정되는지는 아직 미정이라고 합니다.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모두 인정이 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마치며
정말 오랜만에 가입 조건이 널널한 좋은 청년 정책이 생긴 것 같네요. 그렇기 때문에 모든 가입 대상자이신 분들은 해당 통장에 가입해 두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저도 현재는 청년 우대형 주택 청약 통장에 가입된 상태인데, 내년 2월이 되면 주택 드림 통장으로 전환해야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년 애플 신학기 프로모션 (0) | 2024.01.14 |
---|---|
서울시 기후동행카드 혜택, 지원 대상, 신청 방법까지 총정리 (1) | 2023.12.31 |
에너지 바우처 신청 대상, 지원 금액, 신청 기간, 신청 방법까지 총정리 (0) | 2023.10.28 |
CMA 통장 장단점, 종류 (2) | 2023.10.22 |
비만 치료제 관련주 16종목 (0) | 2023.10.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