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러 가격이 2022년부터 진정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심지어 최근에는 1,400원 근처까지 갔다 왔습니다. 미국 물가가 잡히지 않아 금리 인하 시기가 점점 늦춰질 거라는 전망 때문인데요. 그래서 최근 들어 달러자산 보유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습니다. 지금 당장 달러를 사기에는 너무 비싸지만, 달러 가격이 내려오면 달러를 모으는 투자를 해야겠다는 생각이 들고 있는데요. 그래서 오늘은 달러에 투자하는 방법 4가지를 알아보려고 합니다.
환테크
기존에는 환테크를 전신환을 이용해서 하는 방법이 퍼져있었는데요. 전신환이란 증권사 계좌에 원화를 입금시킨 후 달러로 환전시켰을 때 받는 달러를 말합니다. 전신환은 대부분의 증권사에서 환율 우대를 해주는데, 최대 95%까지 해주었습니다. 하지만 최근에는 전신환을 이용한 방법이 메리트가 조금 떨어졌는데요. 바로 토스에서 환율 우대를 100%까지 해주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증권사에서 환전한 달러는 해외 주식을 매수하는 데에도 사용할 수 있어 여전히 메리트가 있는 편입니다.
토스와 증권사를 제외하면 신한 SOL에서 살 때 100%, 팔 때 50%의 환율 우대, 하나 트래블로그에서 살 때 100%, 팔 때 1%의 환율 우대를 해줍니다. 예전에는 100% 환율우대를 보기 힘들었는데, 토스가 쏘아 올린 작은 공이 환율 우대 경쟁을 쏘아올린 것 같네요.
달러 예금
환테크는 박성현 저자를 통해 널리 알려진 달러 트레이딩을 위한 용도라고 생각하시면 되고, 달러의 위아래를 방향성 맞추기보다는 장기 투자를 하기를 원하신 분들은 은행에서 달러 예금을 가입하시는 것도 방법입니다. 달러 예금은 이자 수익을 기대할 수도 있긴 하지만, 이자 소득에 대해서는 15.4%의 세금도 부과됩니다.
홍춘욱 박사의 달러 스위칭을 하기 위해서 달러를 모으기 적합한 상품입니다. 달러 스위칭 전략을 간단하게 설명드리자면 평소에는 달러 예금으로 달러를 모으다가 5 ~ 10년에 한 번 오는 국가 위기의 시기에 달러를 원화로 환전 후, 저평가되어있는 원화 자산을 사는 전략입니다. 최근에는 4년 전 코로나 때, 2년 전 글로벌 인플레이션 때가 기회였습니다.
달러 RP
RP는 크게 약정형과 수시형이 존재하며, 약정형은 예금, 수시형은 파킹통장이라고 생각하시면 편합니다. 예금보다는 이율이 조금이라도 더 높은 대신 예금자 보호가 되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RP는 국공채 등 신용도가 매우 높은 상품에 투자하기 때문에 예금자 보호에 대해서는 사실상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외화 RP도 예금과 동일하게 15.4%의 이자 소득세가 과세되며, 환차익은 비과세입니다. RP도 매우 안정적인 상품이긴 하지만 달러 예금보다는 아주 약간이라도 위험하다는 점을 알고 투자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ETF
달러 ETF, SOFR, 미국채 등 ETF를 통해서 달러에 투자하실 수 있습니다. 정확히 미국채는 달러가 아닌 미국이라는 나라의 국채에 투자하는 것이기 때문에 미국의 연준에서 정하는 금리에 영향을 많이 받습니다. 달러 ETF는 말 그대로 ETF를 통해 달러에 투자하는 상품인데, ETF는 세금이 과세되기 때문에 개인적으로 추천드리는 방법은 아닙니다. 환차익은 비과세이기 때문에 차라리 다른 방법을 추천드립니다.
SOFR은 Secured Overnight Financing Rate로, 달러와 금리에 투자한 것과 동일한 투자 효과를 보실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글을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2023.07.23 - [경제] - SOFR을 이용한 달러 예금 투자, 장단점은?
SOFR을 이용한 달러 예금 투자, 장단점은?
2022년부터 미국의 기준금리가 엄청나게 급등해서 달러 예금에 관심을 갖는 분들이 많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오늘은 쉽게 계좌를 개설하지 않고도 달러 예금에 투자할 수 있는 SOFR이라는
inigo.tistory.com
마치며
달러 투자는 당연히 현재처럼 환율이 높아져있는 시기에 환차손을 볼 가능성이 높습니다. 다만, 달러 자산 축적의 중요성을 깨달으신 분들이 미리 준비하고 공부하시는 것은 매우 찬성하고, 저 역시 미리 공부 중이기에 내용을 작성한 포스팅입니다. 절대 달러를 매수하기에 좋은 시기라고 생각해서 쓴 포스팅이 아니라는 점을 밝힙니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년 1분기 빌게이츠 포트폴리오 (0) | 2024.05.17 |
---|---|
2024년 대기업 재계 서열 - 공시 대상 기업 집단 지정 현황 (1) | 2024.05.16 |
미국 원전 관련 ETF 3종목 (0) | 2024.05.13 |
2024년 아파트 공시가 - 내 아파트 공시가격 확인, 공시가격 이의신청 (0) | 2024.05.12 |
네 마녀의 날이란? 네 마녀의 날 뜻과 일정 (0) | 2024.03.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