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용어 중에서 범위의 경제(Economy of Scope)라는 말이 있습니다. 규모의 경제는 많이 들어보았어도 범위의 경제에 대해서는 생소하게 느끼시는 분이 계실 것 같은데요. 그렇다면 범위의 경제가 어떤 의미인지 뜻과 범위의 경제 예시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범위의 경제 뜻
범위의 경제는 여러 산업에 걸쳐 기업의 생산 범위를 늘릴 때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를 의미합니다. 즉, A라는 한 기업이 '가'라는 상품과 '나'라는 상품을 동시에 만들면 한 상품을 만들 때보다 더 적은 비용을 들여서 제품을 생산할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이런 효과가 나타나는 이유는 '다'라는 부품이 '가'상품과 '나'상품에서 모두 사용될 경우, '다' 부품에 대한 생산자는 '가'와 '나'에 모두 부품을 공급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마진을 낮추더라도 매출을 늘려서 이익을 누릴 수 있고, '가' 상품과 '나' 상품은 저렴한 가격의 '다'부품을 이용해서 생산 비용을 낮출 수 있습니다.
범위의 경제 예시
범위의 경제는 외국의 철도회사들이 잘 활용합니다. 대표적으로 일본에서 한 철도 회사는 자사가 보유한 철도 노선 근처에 부동산 개발을 적극적으로 합니다. 철도 연결로 얻은 수익과 부동산 시세 상승을 노리면서, 보유한 유통 매장들에 접근성을
높여 수요를 창출하는 방식으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또, 애플도 범위의 경제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대표적인 기업중 하나입니다. 아이폰을 판매하고, 아이패드를 판매하고, 에어 팟과 애플 워치까지 판매하여, 고객들이 일명 사과농장이라고 부르는 애플 생태계를 벗어나지 못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이 또한 범위의 경제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예시입니다.
범위의 경제가 아닌 것
위의 내용을 통해서 관련 사업을 다각화하는 것이 범위의 경제라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기존에 하고있던 사업과는 관련이 없는 완전히 다른 사업으로 다각화하는 전략은 규모의 경제가 아닙니다. 유튜브 드라마 좋좋소에서는 정승 네트워크가 무역업을 하다가 좋소개팅을 만들어 완전히 다른 쪽으로 사업을 확장한 적이 있습니다. 이런 경우는 범위의 경제라고 볼 수 없습니다.
마치며
오늘은 범위의 경제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알고나면 당연하다고 느껴지시지 않나요? 다음에도 알고 나면 당연하다고 느껴지는 규모의 경제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기타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IRP 계좌 혜택과 단점 (0) | 2022.11.05 |
---|---|
모라토리엄의 뜻과 사례, 디폴트와 차이는? (0) | 2022.11.04 |
토탈 리턴(TR) ETF 사라질까? (0) | 2022.10.31 |
국가애도기간 뜻 (1) | 2022.10.30 |
마이크로소프트(MSFT) 주가 전망(차트적 관점) (0) | 2022.10.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