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에 주식에 관련된 책을 한 권 읽었습니다. 바로 "주식시장을 더 이기는 마법의 멀티플"이라는 제목으로 이 글의 제목과 동일합니다. 저자는 토비아스 칼라일이고, 2021년에 쓰인 책입니다. 이 책은 꽤 유명한 퀀트 공식인 마법 공식에 대한 책인 조엘 그린블랫의 주식시장을 이기는 작은 책이라는 책의 업그레이드 버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마법의 멀티플
결론부터 말하자면 이 책은 마법의 멀티플을 쓰면 초과 수익을 낼 수 있다는 이야기를 한 권의 책으로 풀어쓴 것입니다. 이 책에서 소개하는 마법의 멀티플은 사실 많은 분들이 쓰고 계신 지표를 조금 수정한 것입니다,
- 마법의 멀티플 = 기업 가치(Enterprise Value) / 영업이익(Operating Earnings)
어디서 많이 본 공식 같지 않나요? EV/EBIT 혹은 EV/EBITDA와 매우 유사한 구조입니다. 바로 이게 바로 마법의 멀티플을 구하기 위한 기초입니다. 하지만 마법의 멀티플 자체는 아닙니다. 왜냐하면 마법의 멀티플에서 말하는 기업가치는 단순히 시가총액을 말하는 게 아니기 때문입니다.
책에서 말하는 기업가치는 기업 전체를 인수할 때 들어가는 총비용으로, 시가총액 + 소수지분 + 우선주 + 부채 - 현금입니다. 책에서는 마법의 멀티플을 기업과 부채를 인수하는 데 사용하고, 인수한 현금은 다시 사용할 수 있으니, 시가총액에서 현금성 자산은 빼라고 말합니다. 그리고 부채는 갚아야 하므로, 부채는 더하고 있습니다. 우선주와 소수지분 역시 불리한 요소이기 때문에 더해서 계산합니다. 즉, 불리한 사항은 더하고(시가총액, 소수 지분, 우선주, 부채), 유리한 사항(현금)은 빼는 방식입니다.
사실 이는 책의 원서를 보면 왜 그런지 알 수 있습니다. 원서에는 마법의 멀티플이 아니라 acquirer's multiple이기 때문입니다. 즉, 원서에는 마법의 멀티플이 아닌 인수자의 멀티플이기 때문에 기업 가치를 계산할 때 인수가치를 이용해서 계산하는 것입니다.
평균 회귀
책에서는 마법의 멀티플이 작동하는 원리는 평균회귀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당장의 수익성이나 성장률이 높아도 경쟁자가 많이 생겨 평균으로 회귀하고, 반대로 당장의 수익성이나 성장률이 낮으면 경쟁자가 떨어져 나가기 때문에 평균 수준으로 다시 높아진다는 원리입니다.
많은 분들이 아시는 것처럼 저평가된 주식이 턴어라운드 할 때 엄청난 주가 상승을 보여줍니다. 반면에, 이미 가격이 떨어질 대로 떨어진 기업은 충분한 안전마진을 가지고 있지만, 주가가 평균 회귀할 때는 초과 수익을 안겨준다는 것입니다.
실제로 많은 가치 투자자들은 평균회귀를 노리고 가치 투자를 하는 것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언젠가는 제대로된 평가를 받고 주가가 올라간다는 믿음 하에 사는 것이기 때문에, 평균 회귀라는 논리는 납득할 만 하다고 생각합니다.
방법론
마법의 멀티플을 이용한 투자 방법론은 다음과 같습니다.
- 분석: 마법의 멀티플을 구해서 순위를 매깁니다.
- 매수: 마법의 멀티플을 이용한 투자를 하기 위해서는 20개 이상의 종목을 매수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보유 종목 수가 증가하면 한 종목에 투자하는 금액이 감소해서 최대 이익도 감소하지만, MDD 역시 감소합니다. 모든 종목을 한꺼번에 매수하는 것이 좋지만, 분할해서 매수해도 괜찮습니다. 예를 들어, 12개월에 걸쳐 정기적으로 매수한다고 하면, 매 월 2~3개 종목을 매수합니다.
- 매도: 1년 + 1일 이상 경과한 종목 중에서 순위에서 사라진 종목을 매도합니다. 종목이 손실중이던, 수익중이던 순위권에 계속해서 존재하면 계속 보유하고, 사라졌으면 매도합니다.
- 리밸런싱: 매도 후 가장 높은 순위의 종목 중에서 보유하지 않은 종목을 매수합니다.
종목 분석은 https://acquirersmultiple.com/이라는 웹사이트에서도 하고 있습니다. 이 웹사이트에서 분석해 놓은 마법의 멀티플은 유료/무료 버전이 있는데, 로그인하시면 라지캡 1000 (Large Cap 1000, 대형주 1000 종목 중 상위 30위)은 무료이고, 나머지는 유료입니다.
마치며
분명히 이 원리가 현재도 잘 작동한다면 "싸게 사서 비싸게 팔아라"라는 주식 시장의 격언을 실천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저평가된 주식을 매수해서 제대로된 평가를 받게되면 매도하는 전략이기 때문이죠. 하지만 이렇게 간단한 투자 방식이 실제로 작동할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실제로 조엘 그린블랫의 주식시장을 이기는 작은 책에서 나오는 마법 공식은 현재는 적용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기 때문입니다. 개인적으로는 오히려 S&P500이나, 나스닥 100 지수를 사는 게 나을 수도 있지 않을까 의심스럽긴 하네요.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년 최저 임금 - 1,000만 원 실수령 월급은? (0) | 2023.07.22 |
---|---|
우크라이나 재건주 5종목 (0) | 2023.07.16 |
2023년 재산세 조회, 납부 기간, 납부 방법 (1) | 2023.07.09 |
경기도 청년 복지 포인트 지원내용, 신청 방법, 제출 서류까지 총정리 (0) | 2023.07.02 |
반도체 관련주 기가비스 - 2023년 예상 실적, 고평가 여부 (0) | 2023.06.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