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에는 특정한 가격과 조건으로 주식을 주문할 수 있는 조건부 지정가라는 것이 있다는 사실 알고 계신가요? 오늘은 조건부 지정가가 무엇인지, 뜻과 조건부 지정가 매수 주문 방법과 조건부 지정가 매도 주문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조건부 지정가 뜻
조건부 지정가는 한국 주식 기준으로 주식 시장 폐장 시간인 오후 3시 30분까지 매수자가 지정한 가격에 거래가 체결되지 않을 경우, 시장가로 주문되어 거래가 체결되는 주문 방식입니다. 정확하게 말하면 3시 20분까지는 지정가 주문과 동일하게 동작하고, 3시 20분부터 3시 30분까지는 미체결된 수량이 시장가 주문으로 자동 전환되어 체결되는 방식입니다. 보통 조건부 지정가는 오늘 꼭 매수 혹은 매도하고 싶은데, 원하는 가격이 올 때까지는 끝까지 버틸 때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조건부 지정가 매수 주문 방법
조건부 지정가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사용하시는 증권사의 MTS 혹은 HTS에서 주식 주문 종류로 조건부 혹은 조건부 지정가 등 조건부 지정가를 의미하는 옵션을 선택하시면 됩니다. 만약, 조건부 지정가 옵션을 못찾겠으면 사용하시는 증권사에 문의하시어 조건부 지정가 옵션을 선택하시면 됩니다. 이후에는 매수할 주식의 수량과 지정가를 입력하시고 매수 버튼을 누르시면 됩니다. 단, 지정가가 현재가보다 높은 경우 현재가로 바로 체결될 수 있습니다.
조건부 지정가 매도 주문 방법
조건부 지정가 매도 주문은 매수 주문하는 방법과 거의 동일합니다. 먼저 조건부 지정가 옵션을 선택하시고, 매도 가격과 매도 수량을 정하신 후 매도 버튼을 누르면 끝입니다. 단, 지정가가 현재가보다 낮은 경우에는 현재가에 바로 매도 체결될 수 있으니 주의하셔야 합니다.
마치며
조건부 지정가는 주문이 체결되지 않을 경우에는 시장가에 체결됩니다. 즉, 끝까지 거래가 체결되지 않으면 매수를 원하지 않는 높은 가격에 매수가 될 수도 있고, 매도를 원하지 않는 낮은 가격에 매도가 될 수 있습니다. 이 부분과 위에서 말씀드린 현재가로 거래가 체결될 수 있는 부분을 유의하셔서 투자하시기 바랍니다.
'기타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2023 스키장 개장일과 준비물 총정리 (1) | 2022.11.22 |
---|---|
기술적 반등이란? (0) | 2022.11.19 |
TDF란? TDF 장점과 단점 (0) | 2022.11.17 |
주식 소각 뜻과 이유 (0) | 2022.11.16 |
삼성전자 기술적 분석 (0) | 2022.11.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