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번에 SOFR에 대해서 소개해드린 글이 있습니다.(2023.07.23 - [경제] - SOFR을 이용한 달러 예금 투자, 장단점은?) SOFR은 간단히 설명드리자면 상장되어 있는 미국 달러 예금이라고 생각하시면 되는데, 우리나라 원화에도 이와 비슷한 상품이 있습니다. 바로 KOFR입니다. 하지만 KOFR과 SOFR 상품 중에서 안전자산으로 인정되는 상품이 있는 반면에, 인정되지 않는 상품들도 있습니다. 그렇다면 어떤 상품이 안전자산으로 인정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KOFR
KOFR은 한국무위험지표금리로, 홈페이지에는 투자자가 신용 리스크 없이 얻을 수 있는 이론상 최소 수익률이라고 적혀있습니다. 그냥 쉽게 말해서 상장되어 있는 파킹통장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실제로 차트를 보시면 아름다운 45도 각도의 우상향 차트를 그리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참고로, 현 시점의 KOFR의 금리는 3.443%로, 케이뱅크 파킹통장의 금리인 2.3%보다 훨씬 높습니다. 물론 저축은행 예금 금리보다는 낮긴 하지만, 파킹 통장처럼 특정 기간 동안 돈이 묶이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안전자산으로 인정될까?
KOFR은 ETF인만큼 다양한 자산 운용사에서 상장시켰습니다. 해당 ETF들을 선택하는 기준은 IRP 계좌에서 안전자산으로 인정되느냐이겠죠. IRP 계좌에서는 70%는 주식형 ETF로 채우고, 나머지 30%는 안전자산으로 채워야 하니까요.
- 삼성자산운용 KODEX KOFR 금리액티브(합성)
- 미래에셋자산운용 TIGER KOFR 금리액티브(합성)
- 한화자산운용 ARIRANG KOFR 금리
- NH-아문디자산운용 HANARO KOFR 금리액티브(합성)
KOFR을 추종하는 ETF는 위의 네 가지 상품이 있습니다. 이 상품들 중에서 안전자산으로 인정된 상품은 미래에셋 자산운용의 TIGER KOFR 금리액티브(합성) 뿐입니다. 위험자산은 IRP 계좌에서 70%밖에 보유할 수 없기 때문에, IRP 계좌에 한해서는 나머지 세 상품들은 쳐다볼 가치도 없을 것 같네요.
IRP 계좌 포트폴리오
IRP 계좌에서 선택할수 있는 포트폴리오는 무궁무진합니다. TDF 100%를 선택할 수도 있고, 안전자산 100%를 선택할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주식형 ETF 70%와 안전자산 30%를 선택할 수도 있죠. 물론 포트폴리오는 현재 연령이 어떻게 되느냐에 따라 달라질 것인데, 제가 가장 추천하는 포트폴리오는 이렇습니다.
- 20 ~ 30대: 주식형 ETF 70% + 안전 자산 30%
- 40대: 주식형 ETF 60% + 안전 자산 40%
- 50대 이상: 주식형 ETF 50% + 안전 자산 50%
TDF를 추천하지 않는 이유는 원하지 않는 지수, 상품에 투자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당연히 투자할 기간이 긴 2030 세대는 주식형 ETF 70%를 선택해 최대한 수익률을 올리는 편이 좋습니다. 어느 정도 자산을 지켜야 하는 40대부터는 안전 자산의 비중을 늘리는 것을 추천드리며, 연금을 개시해야 하는 50대 이상 분들은 반반 투자 전략을 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마치며
저는 IRP 계좌에서는 미국 나스닥100TR 35%, 인도 NIFT50 35%, KOFR 30%의 비중으로 투자를 할 계획입니다. 사실 KOFR이 아닌 SOFR을 투자하고 싶지만, SOFR은 아쉽게도 안전자산으로 인정되는 상품이 없는 것 같습니다. 만약 안전자산으로 인정되는 SOFR 상품이 출시되면 나스닥, 니프티 50, SOFR로 포트폴리오를 변경할 계획입니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IBK 청년 도약 계좌 가입 조건, 우대 금리, 정부 기여금 (0) | 2023.08.13 |
---|---|
풍력 에너지 관련주 5종목 (0) | 2023.08.12 |
홍춘욱 박사의 투자 방법 - 반반 적립투자, 투자 3분법, 탈무드 투자법 (0) | 2023.07.26 |
SOFR을 이용한 달러 예금 투자, 장단점은? (0) | 2023.07.23 |
2024년 최저 임금 - 1,000만 원 실수령 월급은? (0) | 2023.07.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