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타정보

연금저축계좌와 IRP와 비교

by skyblues 2022. 11. 6.

연금저축계좌는 어제 포스팅했던 IRP와 더불어 세제혜택을 주는 계좌로 유명합니다. 또한, 두 계좌 모두 은퇴 후 연금형식으로 돈을 수령하도록 설계된 것도 비슷합니다. 그렇다면 연금저축계좌와 IRP 계좌의 차이가 무엇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반응형

 

연금저축계좌

IRP와 비교를 하기 전에 우선 연금저축계좌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연금저축계좌는 소득요건에 따라 13.2%부터 최대 16.5%의 세액공제 혜택을 주는 세제 혜택 계좌입니다. 2023년 개정 기준으로 종합소득금액이 4,500만 원 이하, 연간 급여가 5,500만 원 이하이면 16.5%의 세액공제혜택을 받으실 수 있고, 그 이상의 소득을 올리시는 분들은 13.2%의 세액공제 혜택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어느 소득구간에 속하든 연간 납입 한도는 600만 원입니다.

 

IRP와 연금저축계좌 비교

IRP 계좌는 연금저축계좌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많은 규제를 받게 됩니다. 연금저축계좌는 위험자산에 100% 투자할 수 있지만, IRP 계좌에서는 70%로 제한당합니다. 또한,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중도 인출이 불가능한 IRP와는 다르게 연금저축계좌는 제한 없이 중도인출을 할 수 있습니다. 게다가 IRP는 압류가 불가능한 반면에 연금저축계좌는 압류가 가능합니다.

 

 

 

IRP와 연금저축 무엇을 써야 할까?

저는 투자성향에 따라서 결정하라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공격적인 투자성향을 지녀 위험자산에 높은 비중을 두고 싶으신 분들은 연금저축계좌에 600만 원, IRP 계좌에 300만 원을 납입하시면 위험자산에 투자하는 비율을 높이실 수 있습니다. 반대로, 안전자산 위주로 투자하고 싶으신 분들은 굳이 연금저축계좌까지 가입하실 필요 없이 2023년 개정 기준 900만 원 한도를 모두 IRP로 채우셔도 될 것 같습니다.

 

마치며

저는 공격적인 성향을 지녔기 때문에 연금저축계좌와 IRP를 모두 만들려고 하고 있습니다. 다만, 목돈이 묶이는 것이 조금 마음에 걸려서 연간 900만 원을 모두 납입할지는 두고 봐야 할 것 같습니다.

댓글